명소-유적지

 

민속유물전시관

민속유물전시관의 첨부된 사진(이미지)

고분전시관

고분전시관의 첨부된 사진(이미지)

낙단보

 ■ 총연장 286m(고정보144.4m, 가동보141.6m)로 다기능보의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의성,상주,구미 세지역의 자연과 역사, 문화가 융합되고 사람이 어우러지는 전통적인 이미지가 반영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락지천(利樂之天)을 컨셉으로 자연은 이롭게, 사람은 즐거운, 생명이 유익한 생태환경으로 조성되었다.
■ 소재지 : 경북 의성군 단밀면 도안로 851(054-830-7120~1)
■ 교통편 : 의성IC(봉양면, 지방도) → 안계면 방향(20분 가량) → 단밀, 생송방면
■ 인근관광지 : 만경산, 낙정나루터, 상주 나각산, 구천 청화산 및 조성지 등

산운생태공원

산운생태공원의 첨부된 사진(이미지)

의성탑산(약수)온천

의성탑산(약수)온천의 첨부된 사진(이미지)

문소루문소루(聞韶樓)의 첨부된 사진(이미지)

  • 건축연대 미상이나 고려 중엽의 건물로서 문소루(聞韶樓)를 포함하여 교남사대루(嶠南四大樓 : 교남은 지금의 영남)로 칭하는 진주의 촉석루(矗石樓), 밀양의 영남루(嶺南樓), 안동의 영호루(映湖樓) 중에서도 그 창건 연대가 가장 앞서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누대는 우리 역사상 가장 처참하게 강산이 초토화 되었던 임진왜란에도 별다른 변동 없이 지나 왔는데 조선 효종8년(1657) 정유년에 화재로 전소된 것을 숙종 20년(1694) 갑술년에 현령 황응일 (縣令 黃應一)이 중건하였으나, 6.25 동란 시 전소되어 지금은 자취를 찾아볼 수 없으며, 1982년 12월에 구봉산 제9봉에 再建 開基祭를 올리고, 1983년 5월 9일 상량을 보게 되고 그해 9월 목조 9간(9間) 마루 면적 약 25평의 준공을 이루었다.

고운사

고운사(孤雲寺)의 첨부된 사진(이미지)

사촌마을(沙村마을)
 

사촌마을(沙村마을)의 첨부된 사진(이미지)

빙계서원(氷溪書院)

빙계서원 (氷溪書院)의 첨부된 사진(이미지)

수정사(水淨寺)

수정사(水淨寺)의 첨부된 사진(이미지)

의성 제오리의 공룡발자국 화석(義城 提梧里의 恐龍발자국 化石)

의성 제오리의 공룡발자국 화석 (義城 提梧里의 恐龍발자국 化石)의 첨부된 사진(이미지)3

천연기념물 제37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백악기 중생대에 생성된 것으로 1973년도 의성 탑리에서 처음으로 공룡의 골격화석이 발견되었고, 다시 1982년에 공룡의 발자국화석이 발견되었다. 이는 세계 최대의 공룡으로서 몸무게 120톤, 길이 40m, 높이 20m의 거대한 울트라 사우루스로 밝혀져 세계 학회에 보고됨으로써 국내외로 널리 알려졌다.


♣ 소재지 : 경북 의성군 금성면 제오리 산111외 1필

문익점목면유전비(文益漸木棉遺田碑)

문익점목면유전비(文益漸木棉遺田碑)의 첨부된 사진(이미지)

 

문익점면작기념비(文益漸棉作記念碑)

문익점면작기념비(文益漸棉作記念碑)의 첨부된 사진(이미지)

경덕왕릉(景德王陵)

경덕왕릉(景德王陵)의 첨부된 사진(이미지)
  • 신라 벌휴왕 2년(185년)에 신라에 병합되기 이전 삼한시대 부족국가인 조문국 경덕왕릉은 그 형식이 전형적인 고분으로서 봉분 아래 화강암 비석과 상석이 있다. 봉분의 둘레가 74m, 높이가 8m이며, 능의 전면에는 가로 42㎝, 세로22㎝, 높이 1.6m의 비석이 있다. 먼 옛날 외밭이었던 묘역을 발견하고 수호하게 된 데에는 의성 현령의 꿈에 의하여 발견하게 되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지금도 매년 춘계향사를 지내고 있다. 경덕왕릉 주변에는 약 40여기의 고분이 분포되어 있는데, 금성면 일대는 오랫동안 조문국의 도읍지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문헌자료의 기록이 매우 미미하여 조문국의 역사와 문화를 설명하기에는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자료가 바로 경덕왕릉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금성산고분군이며, 이 곳에 소재하고 있는 고분들을 통해 의성지역 지방세력과 사회구조 및 의성지역과 신라와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소재지 : 경북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 351

의성 탑리 오층석탑(義城 塔里 五層石塔)

 

대곡사(大谷寺)

대곡사(大谷寺)의 첨부된 사진(이미지)